안녕하세요 지은입니다.
오늘은 국가건강검진에서 가장 많이 받으시는 이상 결과 중 혈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혈압이란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한다. 혈압을 읽을 때에는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확장기 혈압(최저혈압)으로 나누어서 읽는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이다.
고혈압의 기준
보통 정상혈압은 90/60이상120/80 미만을 의미하며, 120/80이상 에서 140/90 미만은 경계치 혈압으로 분류되고 140/90 이상은 고혈압으로 분류가 됩니다. 또한 90/60 아래의 혈압은 저혈압입니다.
건강검진을 하게 되면 보통 혈압을 가장 먼저 측정하고 다른 검사들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렇게 될 경우에는 움직인 후 얼마 안되어 재거나 아직 숨이 고르지 못했는 등 안정적이지 못한 상태로 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그럴 경우 혈압이 평소보다 높게 측정이 됩니다. 그런 혈압은 정말 그 사람의 혈압이라고 판단 하기 어려움으로 반드시 안정된 상태에서 2차 혈압을 측정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2차혈압까지 측정하였음에도 고혈압 수치로 결과가 나가게 된다면 고혈압 확진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고혈압확진검사
혈압이 고혈압 수치에 해당되는 경우 검진을 받은 후 결과지에 고혈압이 의심됩니다. 고혈압 확진 검사를 받으세요. 와 같은 멘트가 나가게 되는데요 고혈압 확진검사란 무엇일까요?
일단 그 날에 혈압이 잠시 높게 나왔다고 해도 그 사람이 고혈압이라는 확진은 내릴 수 없습니다.
고혈압이라면 안정된 상태에서도 측정된 혈압의 범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데, 검진 당일의 컨디션 저하와 심리적 압박 등으로 인해서도 혈압이 이상수준으로 올라 갈 수 있기 때문에 그 날이 아닌 추후에 다시 병원에 방문을 해서 정말 고혈압이 생긴것인지 그 날만 올라가있던 것 인지 판단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 다시 혈압이 계속 높게 나온다면 고혈압으로 진단 받을 수 있고, 정상으로 돌아왔다면 주의해서 혈압을 꾸준히 측정해보는등의 관리를 하라는 처방이 내려지게 됩니다.
이처럼 진짜 고혈압 환자가 맞는지 확진을 내리기 위한 검사를 고혈압확진검사 라고 합니다.
고혈압 확진 검사를 받지 않으면..?
일반 건강검진에서 이상 결과가 나왔지만 해야 하는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추후 의료보험 적용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라에서 검진을 해주는 이유는 미리 사전에 예방을 하고 건강을 챙기라는 의미인데 그 검사로 나온 결과에 대한 진료를 받고 진단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알고도 일부로 치료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추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고혈압이 아니라면 조금 더 열심히 관리를 해서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고, 고혈압이라면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병원의 진료를 보고 혈압을 조절하며 지속적인 관리를 받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고혈압은 만성질환중 하나로 만성질환은 그 자체로 위험한 것 보다는 만성질환이 있음으로 인해 위중한 질병에 노출 될 위험이 큰 질환입니다. 국가 건강검진 혈압 측정 시 귀찮아하시지 마시고 2차혈압까지는 적극적으로 측정하시고, 혹시 고혈압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고혈압 확진 검사도 반드시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오늘은 국가검진 중 고혈압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모두가 건강검진으로 건강한 생활 하시길 바라면서 저는 여기에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오늘도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으니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 건강검진 고지혈증 진단 (10) | 2023.04.20 |
---|---|
무료 대장내시경 대장시범사업 (3) | 2023.04.19 |
수면 무호흡, 코골이 검사 수면다원검사 (6) | 2023.04.18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원인균) (2) | 2023.04.15 |
국가 검진 대장암 검사 양성, 대장 내시경 (6) | 2023.04.03 |